“정말 무기력하고 힘들고, 난 아무것도 못하겠다” 이런 사람들은 어떻게 바뀔 수 있나요?
이 글을 읽기 전에 “단 하나의 경험으로 원하는 모든 것을 이룰 수 있다 -2탄”을 읽으면 더 이해가 될 텐데, 너무 글이 장황했던 것 같아서 우선 결론부터 제시하려고 결론의 문단을 1탄으로 바꿔보았다. “정말 무기력하고 힘들고, 난 아무것도 못하겠다”는 사람들에게 정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왜냐면 내가 이랬었기 때문에 첫 단추의 시작 실용적인 팁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나는 실제로 많이 우울하고 무기력 했을 때, 내가 ‘동기부여’가 안 되어서 그런 거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학교에 있는 학습 상담 센터의 선생님과 상담을 하면서 나는 동기부여가 아니라 ‘성취감’을 느끼는 것이 부족하다는 검사 결과를 알게 되고 놀랐었다. 그 결과에 맞게 선생님은 내가 조금이라도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해주기 위해서 프로그램을 계획하셨고, 되도록 매주 만나서 내 성취를 트래킹(기록) 한 것들을 공유하는 절차를 몇 개월동안 지속했다. 이를 통해 나는 굉장한 도움을 얻었기에 내가 배운 절차와 마음가짐을 공유하고자한다.
1. 단순하게 한달동안 하나의 어떤 것만 성취를 한다고 생각해보자. 일단 하루에 딱 하나만, 24시간 중 딱 1시간, 1시간도 많으면 30분. 30분도 많으면 1분. 똑같은 장소에서 똑같은 무언가를 꾸준히 하는 것이 인생의 목표라고 생각해라. 그걸 안하면 그냥 그 날은 못 잔다고 생각을 하든 뭘하든. 그 1분을 해내는 데 하루를 다 바쳐라. 그 시간에 못 했어도 괜찮다. 그날 12시가 넘기전에 1분을 채워라. 24시간은 1분이 60*24번으로 이뤄져있으니, 기회가 그만큼이나 많지 않은가? 자기 전 밤부터 내일 뭐할지에 대한 장황한 계획을 세우는 게 아니라, 아침 8시에 일어나서 커피마시기. 이것 하나만 계속 상기하면서 자라. 다른 시간들을 허투루 보내든 상관할 바가 아니라 딱 그거 하나만 고수한다고 생각해라.
2. 그리고 못해내도 괜찮다. 왜 못해냈는지만 매일 적으면 된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못했다고 포기 하지 않는 것이다. 보통은 무기력한 사람의 대부분은 못 해냈을 때 좌절감에 빠지면서 포기해버린다. 그리고 악순환이 반복된다. 하지만 이 악순환을 끊어내는 순간이 꼭 필요하다. 정말 무기력감이 너무 심하고 혼자서 못해내겠으면, 챌린지 하는 스터디를 만들거나, 나처럼 상담사와 지속적으로 만나는 것을 추천한다. 나는 상담외에도 에브리타임에서 ‘기상 습관 스터디’를 들어가서 매일 기상인증을 하는 사진을 찍고 못하면 벌금을 내는 스터디를 하기도 했다.
못했다고 “나는 실패자야! 엉엉” 하거나 “역시 내가 그렇지 뭐”하면서 달력에 x자를 쳐버리는 게 아니라 시도를 한 시간 몇 분정도인지까지 적으면 더 좋다. 5분만 했다면 그것도 성공이다. 나중에 10분으로 늘리면 된다. 너무 첫 걸음부터 성급할 필요없다. 그냥 오늘 하루도 1분이라도 해내면 성공한 거라고 잘했다고 토닥여줘라. 대부분의 무기력한 사람들이 이미 자기 효능감이나 자신에 대한 애정이 낮은 상태라서 자기 자신을 토닥이기 힘들기 때문에 상담사와 함께하면 이런 점이 좋다. 나는 토닥임을 많이 받았고 성취감을 느껴서 이제는 스스로도 스스로를 토닥일 수 있게 되었다!
3. 그런 개선되는 과정에서 성취감을 느끼고, 꾸준히 해내면서 실제로 변화를 느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렇게 한달이라도 뭔가 하나를 꾸준히 해내면 그것이야말로 정말 좋은 작은 성취경험이다. 이렇게 기록을 하게되면 사실 변화를 체감할 수 밖에 없고 기억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다른 것들도 조금씩 서서히 해낼 수 있게 된다.
4. 이걸 한달동안 꾸준히 못했더라도 상관없다. 다음 달에 도전하면 된다. 그냥 그 마법의 한달을 이뤄내고 나면, 그 시점 이후로는 모든 것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며 첫 단추만 잘 끼우면 된다. 나는 한달을 100%로 뭔가 설정을 해놓고 성취한 적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변화를 겪었다. (몇 달에 걸쳐 내가 원하는 다른 것들을 전부 이뤄냈다.) 왜냐하면 100% 성공적으로 이루는 게 중요하다기보다는 내가 뭘 이뤄냈다는 성취감, 전보다 개선되었다는 만족감을 느끼는 게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말을 다 적고 나니 뭔가 메시지가 명확하지 않은 것 같아 마지막으로 강조하자면, 결국 이 모든 여정에서 우리가 얻어야 하는 것은 ‘성취감’ 이다. 내가 하루동안 내가 계획한 무언가를 이뤄냈다는 그 성취감, 내가 저번 주 보다 이번 주에 더 나아졌다는 성취감이다. 그 성취감이 있어야만이 다른 모든 것들을 해낼 수가 있기 때문에 다르게 말하자면, 그 성취감 하나만 한번 느끼면 다른 모든 것들은 원한다면 이룰 수 있게 된다.
- 왜 이렇게 성취경험이 중요한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다면 2탄을 읽어보면 된다.
'Tu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fe Hack] 고민될 때, 현명한 의사결정을 할 수밖에 없는 단 한가지 방법 (0) | 2021.06.20 |
---|---|
[Life hack] 문과생이 10일간 C언어 공부를 해봤다. 앞으로 공부 계획은? (4) | 2021.06.18 |
[Life Hack] 단 하나의 경험으로 원하는 모든 것을 이룰 수 있다 -2탄 (0) | 2021.06.10 |
[Life hack] 프로그래밍을 배우는 마음가짐... 을 적으려다가 글을 날려버렸다. (0) | 2021.06.09 |
[Life Hack] 왜 블로그를 해야하는가. (0) | 2021.05.10 |